Cisco Nexus

N7K 와 N9K 비교

최찐찐멍 2023. 6. 16. 11:11
반응형

1.n7k는 n9k와 다르게 midplane 구조임. 즉 라인카드와 fabric 모듈이 직접 맞물리지 않고 샤시 가운데 mid-plane을 통해서 서로 연결된다.

2.n7k라인카드는 크게 F시리즈 M시리즈가 있고 N9k와 다르게 모두 ingress queuing 및 voq 구조를 사용한다 (n9k는 egress queuing / shared buffer구조를 사용한다)

3.n7k F모듈과 M모듈의 차이점은 F모듈은 SOC구조를 사용하기에 모든 forwarding component가 하나의 칩에 들어가있다.

M모듈은 port asic / fowarding asic/ replication asic / fabric asic 등이 서로 다른 chipset으로 구성됨.

인터널 자료 리뷰시 F2E 모듈의 SOC asic은 clipper 라고하며 F3는 flanker라고 한다.

M2의 경우 forwarding engine은 EARL8 라고하며 VOQ asic은 skytrain이라고 한다.

각 모듈 안에 들어가있는 asic 들의 기능 및 이름들은 아래 링크 참조하면 됨

4.N7K는 n9k와 다르게 system controller가 supervisor 엔진안에 내장되여 있다. (n9k는 SC카드가 별도로 있음)

5.N7K에서 데이터 포워딩은 3 stage를 거치며 이 과정에서 voq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이해하는게 중요하다.

1st stage > ingress LC

2nd stage > Fabric module

3rd stage > egress LC

n7k는 패킷을 fabric으로 올려보내기전 congestion control을 위하여 반드시 sup에 있는 arbiter asic를 통하여 credit을 내려받아야만 트래픽을 fabric으로 내보낼수 있다.

SUP에 arbiter asic은 항상 egress LC 카드의 각 포트에 대응하는 queue들을 (vqi라고함) 모니터링 하고 있으며 버퍼가 부족할 경우 credit을 ingress LC에 할당해 주지 않음으로써, 과도한 트래픽이 egress LC로 몰리지 않도록 제어하며 ingress LC에서 바로 drop 시킨다. (n9k는 congestion 발생시 egress lc에서 drop된다)

6.n7k에서 data 트래픽 forwarding 할때 pipe line을 이해하는게 중요하며 M모듈과 F모듈이 layer 2/3 packet walk을 어떻게 하는지 diagram 을 보고 이해하는게 중요하다.

module 1a ppt 59/60 페이지 참조 (animation 되여 있기에 참조해 보면 좋음)

a. 포트asic ingress qos처리

b. Replication engine(RE)에서 header분리시켜 Fowarding asic으로 header만 내보냄

c. forwarding engine(FE)에서 l2/l3 lookup을 거치고

d. header를 다시 RE한테 전달하여 패킷을 voq로 전달

e. voq는 sup으로부터 credit grant를 받은 후 Fabirc으로 패킷을 전달하며

f. egress LC에서 패킷을 받으면 다시 credit을 release를 한뒤

g. 최종적으로 패킷을 egress port로 내보낸다.

7. F모듈도 M모듈과 pipe line은 동일하며 다만 port asic/ RE/ FE가 따로 있는게 아니고 SOC하나에 들어가 있음으로 이런 과정들이 모두 SOC asic내부에서 일어난다고 보면 됨.

8. n7k는 데이터 포워딩시 위처럼 voq를 통하여 head of line blocking 이슈를 방지할수 있으며 HOLB의 개념을 잘 이해하는게 중요하다. HOLB는 한 포트에 여러개의 egress queue가 있고 그중 하나의 queue에서 congestion이 발생되였을때 나머지 queue들도 모두 영향받는 것을 말하며 voq를 사용하게 되면 특정 queue로 향하는 트패픽만 별도로 drop 시키기에 HOLB 이슈를 피면하게 된다.

 

 

반응형